rainism
MySpace Music, SNS를 넘어 온라인 음악 시장까지?
MySpace Music, SNS를 넘어 온라인 음악 시장까지?
2008.10.10세계 최대의 SNS 서비스인 MySpace가 08년 9월 온라인 음악 서비스인 MySpace Music을 출시하였다. 4대 음반사와 최대 독립 음반사를 비롯하여, Amazon까지 참여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전 온라인 음악 서비스와 달리 SNS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그 가능성을 높이 평가 받고 있다. 1. BestBuy의 Napster 인수 2. MySpace Music 3. MySpace Music의 가능성 1. BestBuy의 Napster 인수 최근 가전 유통 업체인 BestBuy가 Napster 인수 계획을 발표하였다. Napster는 소리바다 이전에 나에게 인터넷 음악 서비스라는 것을 새롭게 보게해 줄 뿐 아니라, 기억 속에 아련했던 어린 시절의 음악들을 (어디서도 음반을 구할 수 없..
Google의 Android, Mobile 환경 에서의 Mash-up을 기대한다
Google의 Android, Mobile 환경 에서의 Mash-up을 기대한다
2008.10.09올 10월 Android가 탑재한 스마트폰이 공식 출시되면서, 유선 인터넷의 강자인 Google이 Mobile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관심이 모아졌다. Open Platform 환경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들의 출현을 기대해도 좋을지... 특히나 Mobile 환경에서의 새로운 Mash-up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크다. 1. Android의 등장과 Mobile에의 Impact 2. Mobile Mash-up에 대한 기대 3. Mobile Mash-up의 간단한 사례 1. Android의 등장과 Mobile에의 Impact 1.1 Android 단말의 출시와 Google의 포부 Google의 개방형 플랫폼 Android를 탑재한 휴대폰 (일명, 구글폰)이 대만 HTC의 G1 브랜드를 달고 T-Mobile U..
거실 미디어의 환경 변화, Web-to-TV 시장의 부상
거실 미디어의 환경 변화, Web-to-TV 시장의 부상
2008.10.06인터넷을 통한 삶의 변화는 거대하지만, 과연 TV 시청이라는 거대한 삶의 형태까지 바꿀 수 있을 것인가? Web을 통해 Entertainment 컨텐츠를 공급하는 웨버테인먼트 Webertainment 추세가 확산되는 가운데, IPTV와 케이블 사업자는 물론, 셋탑박스, 포털 업체까지 가세하여 온라인 동영상을 TV로 볼 수 있게 하는 다양한 Web-to-TV 서비스와 단말, 솔루션들이 잇달아 출시되고 있다. 과연 이 시장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그 전에 과연 이 시장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1. Web-to-TV 시장의 부상 2. 각 진영별 Web-to-TV 추진 동향 1. Web-to-TV 시장의 부상 1.1 웨버테인먼트 추세의 확산 Web을 통하여 Entertainment 컨텐츠를 공급하는 웨버..
Google의 'Knol', 지식in이 되려는가?
Google의 'Knol', 지식in이 되려는가?
2008.10.01Google은 지난 7월 23일 약 7개월간의 테스트를 마치고 인터넷 백과 사전인 Knol의 오픈 베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누구나 익명으로 자유롭게 참여하여 컨텐츠를 생산하고 수정할 수 있는 Wikipedia와 달리, Google의 Knol은 기명의 특정 생산자가 만들어내는 지식에 초점을 맞춘 인터넷 백과사전 서비스이다. Google은 Knol이 Wikipedia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은 양자가 경쟁 관계에 서게 될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1. Knol과 Wikipedia 2. 컨텐츠 생산자의 전문성 3. Knol의 수익 배분 모델 4. Knol에 대한 우려 5. Knol은 새로운 기회? 1. Wikipedia에 맞서는 Knol "Unit of Knowlegde"를 ..
Mobile 검색 시장을 겨냥한 Portal과 Mobile 진영의 합종연횡
Mobile 검색 시장을 겨냥한 Portal과 Mobile 진영의 합종연횡
2008.09.29Full Browser와 iPhone의 등장과 함께 mobile internet의 사용이 보다 현실화 되자, 서로 대립과 견제 관계를 유지하던 인터넷 업계와 이통사, 단말 제조업체의 합종연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1. 인터넷 검색 - 모바일 진영간의 제휴 2. Mobile 검색 이용 현황 1. 인터넷 검색 - 모바일 진영간의 제휴 1.1 MS & RIM 이미 Live Messenger와 Hotmail의 제휴 관계가 있었던 MS와 RIM이 이번에는 RIM의 BlackBerry Browser에 MS의 검색 엔진인 Live Search를 장착하는 것은 물론, BlackBerry의 Map에 통합한다는 협력 방안에 협의 하였다. 이로써 BlackBerry의 이용자들은 위치 관련 검색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RISC와 CISC의 대표주자, MID에서 충돌 - Intel와 ARM의 시장 형성 구도
RISC와 CISC의 대표주자, MID에서 충돌 - Intel와 ARM의 시장 형성 구도
2008.09.19잘 만날 것 같지 않았던 Intel과 ARM의 제품이 MID 에서 충돌했다. PC 분야의 선두 주자 Intel과, Mobile 분야의 선두 주자 ARM은 서로 다른 전략으로 MID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 각자의 배경이 다른만큼, 각각의 장점을 내세우는 접근 전략을 사용하는데, 과연 최종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아니, 그보다 MID는 과연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UMPC 꼴 나지 않을까 심히 걱정된다.) 1. Intel의 MID 전략 2. ARM의 MID 전략 Intel은 PC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바탕으로 MID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반대로 ARM은 휴대폰 시장에서의 기반을 바탕으로 하여 MID 시장에 접근하고 있다. 전세계 MID 판매량은 08년 100만대 수준에서, 14년 6,900만대로..
Open Screen Project ; Adobe의 Flash 확장 전략
Open Screen Project ; Adobe의 Flash 확장 전략
2008.09.1705년 Adobe가 Macromedia를 인수하면서 Flash Platform을 또 하나의 성장 동력으로 생각하는 것은 틀림없다. 다만, 아직까지 기대했던 만큼의 수익을 올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Adobe는 Flash Platform을 확장하려는 승부수를 던졌다. 지난 5월 발표했던 Adobe의 Open Screen Project (이하 OSP)가 그것이다. Adobe는 OSP를 통하여 사업자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PC의 Web과 이동 통신 단말을 비롯하여 TV, STB, 가전, Secondary device 까지 Flash Platform을 확대하게 될 것이다. 1. Flash 기술 규격 공개를 감내한 OSP 도입 2. OSP의 목표 3. SOP의 Partners 1. Flash 기..
Beyond Web 2.0 - Connecting the Dots
Beyond Web 2.0 - Connecting the Dots
2008.09.16Dot.com bubble 붕괴 이후로 새로운 BM을 찾아 헤메이던 기업들에게 구원과도 같은 계시를 내려준 O'Reilly는 이 업계에서 'Blue Ocean'과 더불어 최대의 유행어 'Web 2.0'이라는 만들어 주셨다. 다만 어처구니 없게도... 회사의 윗사람들에게 'Web 3.0을 정의해봐'라는 지시를 받을 때에는... 저 분이 Web 2.0의 개념은 알고 있는걸까... 라는 생각이 든다.. O'Reilly는 Web 2.0의 다음 단계를 Sensor Data에 자동적으로 Collective Intelligence Tech. (집단 지성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듯 하다. 1. Collective Intelligence Tech.와 Sensor Data의 응용 2. Web 2.0의..
가상 세계의 Web 2.0, 데이터 이동성과 상호 운용성
가상 세계의 Web 2.0, 데이터 이동성과 상호 운용성
2008.09.11얼마전 Social Graph와 SNS의 data 이동성에 대해 포스트한 바 있다. 최근에는 가상 세계에서의 data 이동성에 대한 의미 있는 시도가 있어서 이에 대해 소개해 본다. 1. Linden Lab과 IBM, 가상 세계간의 Avatar Teleport 시연 2. 개방형 표준의 필요성 3. Web과 가상 세계와의 융합이 상호 운용성의 출발 1. Linden Lab과 IBM, 가상 세계간의 Avatar Teleport 시연 Second Life로 유명한 Linden Lab은 IBM과 공동으로 Second Lab 내의 Avatar를 OpenSim (3D Metaverse용 open source 서버)에서 운영되는 전혀 다른 가상 세계로의 Teleporting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Metaverse 서..
Google Chrome의 목표는 Browser가 아니라 OS?
Google Chrome의 목표는 Browser가 아니라 OS?
2008.09.11현재 회사에서 사용하는 본인의 PC에는 3개의 Web Browser가 깔려 있다. MS의 IE 6.0, Mozila의 Firefox 3.0, 그리고 9월 4일에 설치한 Google의 Chrome beta이다. 주로 사용하는 것은 Firefox 3.0이고, MS Exchange에 기반한 회사 인트라넷이나 IE로만 볼 수 있는 저질 site에서는 IE 6.0을 사용한다. 9월 2일 Google에서는 전격적으로 Chrome의 beta 버젼을 공개했고, 잽싸게 설치해 봤지만 안된다. 회사의 네트워크 보안 프로그램이 Windows OS Protection을 사용하는데, 이 때문에 안 응용프로그램 오류가 발생한다. (하지만, 우리 회사의 날쌘 보안팀에서 임시 해결안을 제시해 줘서 지금은 사용하고 있다.) 사용기에 ..
이동 통신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경쟁
이동 통신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경쟁
2008.09.09우리 나라와 일본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 제조에 관련된 각종 규제 및 표준이 이동 통신사에 종속되어 있지만, 유럽을 중심으로 한 해외 시장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사 보다는 단말 제조사가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SIM을 기반으로 한 Mobile Portablility에 기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있으면 다뤄보기로 하고... (이건 안 다뤄보겠다는 얘기인가?) 이번에는 주요 단말 제조사들의 기존의 Value Chain에서의 확장 경쟁과 그로 인한 이통 통신사와의 관계 재정립에 대해서 살펴보자. 1. 이동 통신 단말 제조 업계의 사업 환경 변화 2.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사례 3. 단말 제조사 - 이동 통신사간의 제휴 관계 1. 이동 통신 단말 제조 업계..
Kindle을 바탕으로 한 Amazon의 e-Book 전방위 전략
Kindle을 바탕으로 한 Amazon의 e-Book 전방위 전략
2008.09.04지난번에는 Nintendo DS의 e-Book으로 진화에 대한 글을 포스팅했다. 이번에는 본격적인 e-Book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는 Amazon의 Kindle에 대해서 알아보자. 최근 10여년간 지지부진했던 e-Book 시장을 갑자기 활성화 시킨 Amazon의 Kindle은 출시 이래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나도 놀랐지만, Amazon도 놀라지 않았을까?) 대학 교재 시장 진출, SNS 사이트 인수 등의 Amazon의 전략 다변화를 알아보자. 1. Kindle의 성과 및 전망 2. Amazon의 전방위 전략 3. Kindle 성공의 의미 4. e-Book 시장의 경쟁 가속화 1. Kindle의 성과 및 전망 Kindle을 대상으로 한 e-Book은 Amazon에서 판매되는 전체 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