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통신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경쟁
우리 나라와 일본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 제조에 관련된 각종 규제 및 표준이 이동 통신사에 종속되어 있지만, 유럽을 중심으로 한 해외 시장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사 보다는 단말 제조사가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SIM을 기반으로 한 Mobile Portablility에 기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있으면 다뤄보기로 하고... (이건 안 다뤄보겠다는 얘기인가?)
이번에는 주요 단말 제조사들의 기존의 Value Chain에서의 확장 경쟁과 그로 인한 이통 통신사와의 관계 재정립에 대해서 살펴보자.
1. 이동 통신 단말 제조 업계의 사업 환경 변화
2.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사례
3. 단말 제조사 - 이동 통신사간의 제휴 관계
1. 이동 통신 단말 제조 업계의 사업 환경 변화
선진국의 이동 통신 단말 보유율이 포화 상태를 이루면서 Premium 단말 시장이 점차 축소와 더불어 Low-End 단말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동 단말 제조 업체는 성장률 정체 및 영업 이익 하락을 겪고 있다. 또한 제조사간의 제조 기술이 평준화 되어 더이상 기능에 의한 단말 차별화는 어렵다고 할 수 있는 상황이다.
2.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사례
단말 업체는 Apple의 사례를 Benchmarking하여 Platform 및 Contents 영역으로의 사업 확대가 궁극적으로는 Mobile Terminal 사업 부문에서의 경쟁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1 Apple의 사례
- 음악, 영화, 게임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 : iTunes Store에서 보유하고 있던 기존의 제휴 관계를 확장하여 iPhone에서 서비스를 제공
- GPS, LBS : Google Maps 제휴
- Platform : Mac OS X, Quick Time, Sapari 등 자사의 Platform을 활용
- Contents : iTunes Store 활용
=> 수익 모델 : iPhone 신규 고객 가입비의 일부 배분, iTune Store 이용시 발생하는 데이터 통화료 일부
2.2 Nokia의 사례 (Ovi)
- 음악 : Comes with Music 에서 무료 음악 서비스 개시 (Universal, Sony, BMG 제휴)
- 게임 : N-gage 전략을 단말 중심에서 Platform 중심으로 변화. 60 series 단말에서 N-gage 게임 가능
- UCC, SNS : 이미지 공유 사이트인 Twango 인수. UCC 공유 사이트인 Mosh 서비스 개시
- GPS, LBS : Gate5, Navetec 인수 후 150여개국에 서비스 제공
- 광고 : Mobile 광고 Platform 개발사 인수 후 Nokia Ad Service 개시
=> 수익 모델 : 가입비, 데이터 통화료, 광고비, 컨텐츠 판매 수익 등 이동 통신사의 수익 모델 흡수
2.3 SonyEricsson, 삼성의 사례
SonyEricsson과 삼성의 경우에는 위의 두 회사와 같이 Platform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지는 않고 있다. SonyEricsson은 Play Now, 삼성은 Samsung Mobile Studio 등으로 컨텐츠 제공 영역에 진출하고 있다.
3. 단말 제조사 - 이동 통신사간의 제휴 관계
이동 통신사의 입장에서도 더 이상은 통신사의 울타리 안에 갖추어진 이동 통신 포털만으로는 데이터 트래픽 유발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 변화를 바탕으로 Nokia Ovi와 FTOrange와의 제휴 등 Nokia와 이동 통신사의 사업 제휴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는 Nokia의 단말 제조 경쟁력과 함께, Apple이나 Google 보다는 이동 통신사 입장에서 initiative를 확보할 수 있는 파트너라는 측면이 반영된 결과인 듯 싶다.
- Nokia 제휴 : Vadafone, Cloud (범 유럽 공중 무선랜 사업자), Telefonica & O2, TIM, T-Mobile, FT Orange
- Apple 제휴 : Telefonica & O2, TIM, T-Mobile, AT&T, FT Orange
- Google 제휴 : Telefonica & O2, TIM, Sprint-Nextel, China Mobile, KDDI, NTT DoCoMo, T-Mobile
이동 통신 단말 제조사의 사업 다각화와 이동 통신사의 데이터 트래픽 증가라는 이해 관계가 서로 맞아 떨어지면서, 단말 제조사의 이러한 Value Chain 확장이 시장에서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단말 제조사는 단말기 판매라는 단일 Biz. Model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Value Chain을 확장하는 것이지만, 이는 반대로 이동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사업 모델이 축소되는 위험에 빠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동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데이터 트래픽의 증대를 위한 단말 제조사, 유선 인터넷 포털과의 제휴가 무선 인터넷 시장에서의 leadership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전략적 방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SIM을 기반으로 한 Mobile Portablility에 기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가 있으면 다뤄보기로 하고... (이건 안 다뤄보겠다는 얘기인가?)
이번에는 주요 단말 제조사들의 기존의 Value Chain에서의 확장 경쟁과 그로 인한 이통 통신사와의 관계 재정립에 대해서 살펴보자.
1. 이동 통신 단말 제조 업계의 사업 환경 변화
2.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사례
3. 단말 제조사 - 이동 통신사간의 제휴 관계
1. 이동 통신 단말 제조 업계의 사업 환경 변화
선진국의 이동 통신 단말 보유율이 포화 상태를 이루면서 Premium 단말 시장이 점차 축소와 더불어 Low-End 단말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동 단말 제조 업체는 성장률 정체 및 영업 이익 하락을 겪고 있다. 또한 제조사간의 제조 기술이 평준화 되어 더이상 기능에 의한 단말 차별화는 어렵다고 할 수 있는 상황이다.
2. 단말 제조사의 Value Chain 확장 사례
단말 업체는 Apple의 사례를 Benchmarking하여 Platform 및 Contents 영역으로의 사업 확대가 궁극적으로는 Mobile Terminal 사업 부문에서의 경쟁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1 Apple의 사례
- 음악, 영화, 게임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 : iTunes Store에서 보유하고 있던 기존의 제휴 관계를 확장하여 iPhone에서 서비스를 제공
- GPS, LBS : Google Maps 제휴
- Platform : Mac OS X, Quick Time, Sapari 등 자사의 Platform을 활용
- Contents : iTunes Store 활용
=> 수익 모델 : iPhone 신규 고객 가입비의 일부 배분, iTune Store 이용시 발생하는 데이터 통화료 일부
iTunes Store (Source : iTunes 7, www.apple.com/itunes/store)
2.2 Nokia의 사례 (Ovi)
- 음악 : Comes with Music 에서 무료 음악 서비스 개시 (Universal, Sony, BMG 제휴)
- 게임 : N-gage 전략을 단말 중심에서 Platform 중심으로 변화. 60 series 단말에서 N-gage 게임 가능
- UCC, SNS : 이미지 공유 사이트인 Twango 인수. UCC 공유 사이트인 Mosh 서비스 개시
- GPS, LBS : Gate5, Navetec 인수 후 150여개국에 서비스 제공
- 광고 : Mobile 광고 Platform 개발사 인수 후 Nokia Ad Service 개시
=> 수익 모델 : 가입비, 데이터 통화료, 광고비, 컨텐츠 판매 수익 등 이동 통신사의 수익 모델 흡수
Nokia Ovi (Source : Nokia, ovi.nokia.com)
2.3 SonyEricsson, 삼성의 사례
SonyEricsson과 삼성의 경우에는 위의 두 회사와 같이 Platform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지는 않고 있다. SonyEricsson은 Play Now, 삼성은 Samsung Mobile Studio 등으로 컨텐츠 제공 영역에 진출하고 있다.
3. 단말 제조사 - 이동 통신사간의 제휴 관계
이동 통신사의 입장에서도 더 이상은 통신사의 울타리 안에 갖추어진 이동 통신 포털만으로는 데이터 트래픽 유발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 변화를 바탕으로 Nokia Ovi와 FTOrange와의 제휴 등 Nokia와 이동 통신사의 사업 제휴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는 Nokia의 단말 제조 경쟁력과 함께, Apple이나 Google 보다는 이동 통신사 입장에서 initiative를 확보할 수 있는 파트너라는 측면이 반영된 결과인 듯 싶다.
- Nokia 제휴 : Vadafone, Cloud (범 유럽 공중 무선랜 사업자), Telefonica & O2, TIM, T-Mobile, FT Orange
- Apple 제휴 : Telefonica & O2, TIM, T-Mobile, AT&T, FT Orange
- Google 제휴 : Telefonica & O2, TIM, Sprint-Nextel, China Mobile, KDDI, NTT DoCoMo, T-Mobile
이동 통신 단말 제조사의 사업 다각화와 이동 통신사의 데이터 트래픽 증가라는 이해 관계가 서로 맞아 떨어지면서, 단말 제조사의 이러한 Value Chain 확장이 시장에서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단말 제조사는 단말기 판매라는 단일 Biz. Model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Value Chain을 확장하는 것이지만, 이는 반대로 이동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사업 모델이 축소되는 위험에 빠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동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데이터 트래픽의 증대를 위한 단말 제조사, 유선 인터넷 포털과의 제휴가 무선 인터넷 시장에서의 leadership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전략적 방향이라고 할 수 있겠다.
(main source : Atlas Research, Strabase)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Mobile 검색 시장을 겨냥한 Portal과 Mobile 진영의 합종연횡
Mobile 검색 시장을 겨냥한 Portal과 Mobile 진영의 합종연횡
2008.09.29 -
RISC와 CISC의 대표주자, MID에서 충돌 - Intel와 ARM의 시장 형성 구도
RISC와 CISC의 대표주자, MID에서 충돌 - Intel와 ARM의 시장 형성 구도
2008.09.19 -
Kindle을 바탕으로 한 Amazon의 e-Book 전방위 전략
Kindle을 바탕으로 한 Amazon의 e-Book 전방위 전략
2008.09.04 -
닌텐도 DS의 e-Book 진입? DSVision
닌텐도 DS의 e-Book 진입? DSVision
2008.08.27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