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인터넷을 이용하는가 - 16차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 조사 결과
인터넷에서 사업을 구상하는 사람으로서는 인터넷의 사용 양태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일 것이다.
훌륭하게도 코리안클릭이 이 일을 대행해 주고 있다.
1. 16차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 조사 개요
2. 인터넷 이용 인구
3. 인터넷 이용 시간
4. 인터넷 이용 목적
5. 미디어 이용률과 시간
1. 16차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 조사 개요
- 조사 대상자 : 만 7~65세 남녀 7천명
- 조사 방법 : 전화 면접 조사
- 조사 기간 : 08년 2월 12일 ~ 3월 15일
2. 인터넷 이용 인구
- 국내 전체 32,650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80% 수준 (이건 정확한 분석인지 모집단 추정인지 확실치 않음
- 이용 인구의 94.8%가 가정에서 이용
- 19~25세, 30~39세는 가정과 직장에서 동시에 이용하는 비율이 50% 이상
3. 인터넷 이용 시간
- 주 평균 15.7시간 (게임 시간 포함)
- 25~29세는 24.2 시간으로 이용 시간이 가장 많은 계층
-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전체의 48%로 생활 밀착형 미디어로서의 인터넷 위상 강화
4. 인터넷 이용 목적
- 검색 86.2% > 뉴스/신문 78% > e-mail 63.8% > Download 57.8% > 쇼핑 57.2%
P2P의 대중화로 인하여 영상 컨텐츠와 음악 download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음.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 (뱅킹, 주식, 쇼핑, 경매)의 성장세가 크고, 이 중 뱅킹은 대중화된 서비스로 자리함
- 저 연령층에까지 이용이 확대되었고, 시험 정보, 어학, 사전, 과외 등 교육 관련 서비스의 보편화로 이용 증가 (35.8%)
- 성별에 따라 이용 서비스의 뚜렷한 차이 : 남성은 게임과 download, 여성은 쇼핑, 미니홈피
- 40세 이상 중장년 계층에서 타 연령 집단과 차별적으로 증가율이 뚜렷함
40대의 클럽, 카페 이용률이 50%를 초과하여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뱅킹, 쇼핑 이용률도 50%에 육박
50세 이상의 쇼핑 이용 증가세가 가장 높고, download, 인터넷 라디오/TV 서비스 이용 증가세도 높음
5. 미디어 이용률과 시간
- 미디어별 이용률 : TV 94.5% > 인터넷 80% > 신문 51.6% > 라디오 38.3% > DMB 11.3%
- 인터넷 비 이용자는 이용자보다 TV 이용률이 높고 (97.3%) 타 미디어의 이용률은 현저히 낮음
- TV 주 평균 이용 시간이 18.2 시간으로 인터넷보다 높음
- 신문 일 평균 이용 시간은 35.6분이며, 인터넷 비 이용자는 이용자보다 조금 높음 (41.6분)
인터넷을 통한 미디어 서비스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인터넷이 신문, TV, 라디오까지 아우르는 경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TV의 이용률과 이용 시간은 여전히 인터넷을 능가하고 있다. DBM의 이용률이 07년 9월의 15차 조사 대비 8% 정도 증가하였다.
훌륭하게도 코리안클릭이 이 일을 대행해 주고 있다.
1. 16차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 조사 개요
2. 인터넷 이용 인구
3. 인터넷 이용 시간
4. 인터넷 이용 목적
5. 미디어 이용률과 시간
1. 16차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 조사 개요
- 조사 대상자 : 만 7~65세 남녀 7천명
- 조사 방법 : 전화 면접 조사
- 조사 기간 : 08년 2월 12일 ~ 3월 15일
2. 인터넷 이용 인구
- 국내 전체 32,650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80% 수준 (이건 정확한 분석인지 모집단 추정인지 확실치 않음
- 이용 인구의 94.8%가 가정에서 이용
- 19~25세, 30~39세는 가정과 직장에서 동시에 이용하는 비율이 50% 이상
3. 인터넷 이용 시간
- 주 평균 15.7시간 (게임 시간 포함)
- 25~29세는 24.2 시간으로 이용 시간이 가장 많은 계층
-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전체의 48%로 생활 밀착형 미디어로서의 인터넷 위상 강화
4. 인터넷 이용 목적
- 검색 86.2% > 뉴스/신문 78% > e-mail 63.8% > Download 57.8% > 쇼핑 57.2%
P2P의 대중화로 인하여 영상 컨텐츠와 음악 download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음.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 (뱅킹, 주식, 쇼핑, 경매)의 성장세가 크고, 이 중 뱅킹은 대중화된 서비스로 자리함
- 저 연령층에까지 이용이 확대되었고, 시험 정보, 어학, 사전, 과외 등 교육 관련 서비스의 보편화로 이용 증가 (35.8%)
- 성별에 따라 이용 서비스의 뚜렷한 차이 : 남성은 게임과 download, 여성은 쇼핑, 미니홈피
- 40세 이상 중장년 계층에서 타 연령 집단과 차별적으로 증가율이 뚜렷함
40대의 클럽, 카페 이용률이 50%를 초과하여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뱅킹, 쇼핑 이용률도 50%에 육박
50세 이상의 쇼핑 이용 증가세가 가장 높고, download, 인터넷 라디오/TV 서비스 이용 증가세도 높음
5. 미디어 이용률과 시간
- 미디어별 이용률 : TV 94.5% > 인터넷 80% > 신문 51.6% > 라디오 38.3% > DMB 11.3%
- 인터넷 비 이용자는 이용자보다 TV 이용률이 높고 (97.3%) 타 미디어의 이용률은 현저히 낮음
- TV 주 평균 이용 시간이 18.2 시간으로 인터넷보다 높음
- 신문 일 평균 이용 시간은 35.6분이며, 인터넷 비 이용자는 이용자보다 조금 높음 (41.6분)
인터넷을 통한 미디어 서비스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인터넷이 신문, TV, 라디오까지 아우르는 경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TV의 이용률과 이용 시간은 여전히 인터넷을 능가하고 있다. DBM의 이용률이 07년 9월의 15차 조사 대비 8% 정도 증가하였다.
(Main Source : 코리안클릭)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가상 세계의 Web 2.0, 데이터 이동성과 상호 운용성
가상 세계의 Web 2.0, 데이터 이동성과 상호 운용성
2008.09.11 -
Google Chrome의 목표는 Browser가 아니라 OS?
Google Chrome의 목표는 Browser가 아니라 OS?
2008.09.11 -
Social Graph와 SNS의 Data 이동성
Social Graph와 SNS의 Data 이동성
2008.09.03 -
당신은 롱테일러인가?
당신은 롱테일러인가?
2008.09.03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