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국민의 선택, 나의 선택
블로그 이전을 위하여 이전의 블로그 글을 옮김. 국회의원 선거도 얼마 안 남았고.
2010년 6월 2일은 제 5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일이었다.
2002년부터 그랬지만 선거 전날에는 새벽까지 열심히 퍼 마시고, 몽롱한 정신으로 투표장을 찾아서 그래도 확신을 갖고서 기표를 한다. 물론 몽올한 정신이기 때문에 며칠전부터 정했던 후보의 옆칸에 제대로 기표를 했는지 확실치는 않다.
이번 동시 선거는 1인 8표. 일부러 헷갈리게 만들어서 한 번호로 몰아가기를 시도하는 것인지, 안그래도 가짜 양주로 추정되는 것을 마신 탓에 머리가 지끈거리는데, 이러다가는 전체 후보자는 고사하고 내가 지지하는 후보의 이름도 다 못 외워서 헷갈릴 위기다.
번호 몰아주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당 공천이 없는 교육감과 교육위원의 번호는 추첨을 통해서 뽑았지만, 언제나 그랬듯이 내가 지지하는 후보는 높은 숫자를 뽑았는지 투표 용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투표권을 가진 국민의 54.5%는 알고 있겠지만, 1인 8표이기 때문에 두번에 나누어서 기표를 진행한다. 첫번째 기표 용지는 시/도 교육감, 시/도 교육위원, 지역구 시/도 의회의원, 지역구 구/시/군 의회의원 선거, 두번째 기표 용지는 시/도지사, 구/시/군의 장, 비례대표 시/도 의회의원, 비례대표 구/시/군 의회의원 선거이다. 젠장 헷갈리네.
1. 시/도 교육감 선거 : 서울특별시
내가 지지하는 후보가 당선이 된 것은 아마도 20여년의 선거 인생 가운데 처음인 듯 싶다. 분열로 망할 것이라는 진보 진영은 유례없는 단일화 성공으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야합'이냐 '단일화'냐는 후대가 평가하겠지만.
선거인수 | 투표수 | 투표율 | 차선자 표차 | 무효수 | 기권수 |
---|---|---|---|---|---|
8,211,461 | 4,427,504 | 53.9% | 47,783 | 178,390 | 3,783,957 |
2. 시/도 교육위원 선거 : 서울특별시 제 4 선거구
이건 좀 아프다. 개인적으로 광역/기초 단체장/의원 보다 교육감과 교육위원 쪽을 더 중시했는데. 개표 초반 지지자가 앞서고 있는 상황이었으나, 자고 일어났더니 역전되었다. 4 선거구에 포함된 3개구에서 모두 지지자가 2위인 모습이다. 아쉽다.
선거인수 | 투표수 | 투표율 | 차선자 표차 | 무효수 | 기권수 |
---|---|---|---|---|---|
849,125 | 454,872 | 53.6% | 8,878 | 27,807 | 394,253 |
3. 지역구 시/도 의회 의원 : 광진구 제 2 선거구
그나마 당선자와 차선자의 차이가 좀 벌어져서, 표차가 무효 투표수 보다 많은 결과값이 나왔다. 역시 이 동네는 민주당 지역인가?
선거인수 | 투표수 | 투표율 | 차선자 표차 | 무효수 | 기권수 |
---|---|---|---|---|---|
74,068 | 40,807 | 55.1% | 6,205 | 1,576 | 36,209 |
4. 지역구 구/시/군 의회 의원 : 광진구 나 선거구
3번의 광역 의원 선거 결과와 4번의 기초 의원 선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 지역은 민주당 지역이라기 보다는 반-한나라 지역이라고 하는게 맞을 듯 싶다. 한나라-민주 대결 구도였던 광역 의원 선거 결과는 민주당의 승리였지만, 한나라-민주-민주노동 3분한 결과에서는 한나라당 2명이 민주단 2명을 각각 앞섰다. 광역 의원과 다른 결과만큼이 표는 민주노동당으로...
선거인수 | 투표수 | 투표율 | 차선자 표차 | 무효수 | 기권수 |
---|---|---|---|---|---|
74,068 | 40,808 | 55.1% | 1,444 | 1,901 | 26,201 |
5. 시/도 지사 : 서울특별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고, 또 역전의 역전극을 보여준 이번 선거의 대미가 아니었나 싶다. 구역별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더 많은 구역에서 지지를 받았지만 거의 박빙이었고, 서초/강남/송파 3개 구에서는 꽤 많은 차이가 났기 때문에 두고두고 아쉬워할 것 같다.
미국과 같이 지역을 먹는 선거 방식이었다든가, 아니면 각 당이 단일화해서 1:1로 붙었을 경우에는 선거에서 승리할 수도 있었기에 그 아쉬움은 더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도 박빙은 마찬가지네. ㅎㄷㄷ)
역시 지지한 후보는 아오안이었고, '철거 잘하는 젊은 시장'은 장충 야구장을 허물것이다. 그래도 어쩌랴. 인생 그런거지.
선거인수 | 투표수 | 투표율 | 차선자 표차 | 무효수 | 기권수 |
---|---|---|---|---|---|
8,211,461 | 4,426,182 | 53.9% | 26,412 | 28,510 | 3,785,279 |
6. 구/시/군의 장 선거 : 광진구
한나라 지지표는 3:2 정도로 갈리고, 반한나라 지지표는 6:1로 갈렸다. 이것이 민주당 승리의 비결. 하지만 지지한 후보는 꼴찌. 이게 정상.
선거인수 | 투표수 | 투표율 | 차선자 표차 | 무효수 | 기권수 |
---|---|---|---|---|---|
301,603 | 158,998 | 52.7% | 12,476 | 2,161 | 142,605 |
이제 선거가 끝났으니, 다음 선거까지는 노예 생활...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2017 국민의 선택, 나의 선택
2017 국민의 선택, 나의 선택
2017.05.13모두가 지금의 터져나오는 실망과 분노를 유지하여 20대~40대가 주역이 될 5년, 10년후의 대선에서도 그런 열정으로 임하여 더 나은 우리의 정치를 만들어 갔으면 좋겠다. 30여년 전, 민주화를 이룩한 선배들은 지금은 변화를 두려워하는 투표 결과를 보여주면서 자신들이 목숨바쳐 투쟁했던 독재의 상징을 다시 불러 들였음을 잊지말자. 지난 2012년 대선을 치룬 이후에 지인이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올린 글이고, 2012년 대선에 대한 글을 이 문장으로 마무리 했더랬다. 1987년 6월 29일,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에 2번째로 시시한 투표가 아니었나 싶다. 국난에 가까울만큼 나라가 비상 시국에 빠져 무정부 상황이 6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2017년 5월, 평소보다 7개월 일찍 급하게 치뤄진 선거인데다가, 역대 … -
盧公移山 (노공이산) - 절대 잊지 않겠다.
盧公移山 (노공이산) - 절대 잊지 않겠다.
2016.11.17결코 굽히지 않는, 결코 굴복하지 않는, 결코 타협하지 않는 살아 있는 영혼이 깨끗한 영혼을 가지고 이 정치판에서 살아남는 증거를 여러분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우리 아이들에게 결코 불의와 타협하지 않아도 성공할 수 있다는 하나의 증거를 꼭 남기고 싶었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부산시장 선거 낙선 사례 연설 중 95년이었던가 노무현 당시 부산시장 후보의 도전은 실패했다. 그리고 2009년 하나의 증거를 남기고 싶다던 노무현 전대통령의 바램 역시 성공하지 못했다. 그가 깨끗한 영혼이었는지, 타협하지 않았는지, 어떻게 처신을 했는지는 알지 못하겠다. 감추어진 것이 너무 많고, 왜곡된 것 역시 너무 많다. 이 세상에서의 심판은 그의 죽음과 함께 종결되었지만, 아마도 오늘 그는 신들에게 심판을 받을 것이다. 어찌되… -
전세계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
전세계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
2014.01.01Als die Nazis di Kommunisten holten, habe ich geschwiegen. Ich war ja kein Kommunist. Als sie die Sozialdemokraten einsperrten, habe ich geschwiegen. Ich war ja kein Sozialdemokrat. Als sie die Gewerkschafter holten, habe ich nicht protestiert. Ich war ja kein Gewerkschafter. Als sie die Juden holten, habe ich geschwiegen. Ich war ja kein Jude. Als sie mich holten, gab es keinen mehr. Der protes… -
이 사회의 똘레랑스. 재키 로빈슨을 기념하며.
이 사회의 똘레랑스. 재키 로빈슨을 기념하며.
2013.04.161947년 오늘, 정확하게는 미국 시간으로 4월 15일. 잭 루즈벨트 로빈슨 Jack Roosevelt Robinson 이라는 이름의 아프로-아메리칸 선수가 브룩클린 다져스 Brooklyn Dodgers 팀에 입단한다. 그는 1947년부터 1956년까지 다져스 팀에서 뛰었는데, 1518개의 안타와 137개의 홈런을 쳤고, 통산 타율은 0.311 이었다. 데뷔하던 47년에는 1루수로 뛰어 신인상을 받았고, 그 이후로는 주로 2루수로 출전했으며, 1949년에는 NL MVP를 수상하고, 56년 은퇴하기 전까지 6번의 All-Star 에 뽑히기도 하였다. 1962년에는 77.5%의 득표율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97년 그의 데뷔 50주년을 맞이하여 42번인 그의 등번호는 LA 다져스 LA Dodger…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