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 2010 - LG전자
WIS (World IT Show) 2010
2010.5.25~28 COEX A,C,D홀
지난 WIS 2009 보기
WIS 2010 SK텔레콤 부스 보기
WIS 2010 KT 부스 보기
2008 년부터 시작된 World IT Show.... 국내 IT 전시회가 통합된만큼 가장 큰 전시회인데, 나오는 것들이라고는 전부 해외에서 이미 발표한 것들.
뭐 새로운게 있으려나 하는 마음으로 한번 가 봤다. (물론 대기업만 보고 온다.)
통신사 양대 산맥으로 SKT와 KT가 전시회장 입구를 차지하고 있다면 IT 제조업체 양대 산맥으로는 LG 전자와 삼성 전자가 전시장 안쪽을 양분하고 있다. 원래 가전쪽에서는 전통의 금성이 강세였는데, 요즘엔 그룹 브랜드 값을 앞세운 삼성이 조금은 앞서 있는 느낌. 그래서인지 전시회에는 LG쪽이 더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몇년전부터 고급스런 Black을 선택해서 전시회장 설계를 유명 디자이너에게 맡기곤 했는데, 이번에도 그런 흐름은 계속이어진다.
SK 텔레콤과 KT로 대표되는 통신 분야에서는 딱히 눈에 띄는 흐름은 없었지만, LG, 삼성 가전 쪽에서는 명확한 유행이 존재하는데, 그건 바로 3D와 스마트폰이다. 2009년의 WIS에는 'Green IT'라는 유행같지 않은 외압(?)을 타고 LED TV를 대거 내 놓았지만, 이번에는 3D와 엮어서 다양한(?) 3D 제품을 내 놓았다. 3D와 스마트폰을 제외한 분야는 새로운 것도 없고, 별로 신경도 안 쓴 느낌...
3D 제품
'Amazing 3D Experience'라는 표어를 붙이긴 했으나, 3D를 처음 접한지도 벌써 29년째로 접어드는 만큼 (82년 세계 국제 무역 박람회에서 이미 봤음..) 그다지 Amazing 하거나 하지는 않다. 전시회 부스 절반을 3D 제품으로 채운 것이 오히려 amazing 하지...
AV, TV 같은 가전 분야 이외에, PC에서 3D를 보여주는 제품을 전시회장 입구에 배치한 것이 의외다. 전시장 입구를 LG 로고가 붙어 있는 곳으로 보느냐, 도우미들이 사진 찍으라고 서 있는 곳으로 보느냐에 따라 입구의 의미가 다르겠지만...
모두가 shutter glass 방식의 3D 안경을 쓰고 보는 제품들이다.
3D 의 경우에는 저장과 전송에 표준이 없어서 아직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데...
저장 매체 쪽에는 어차피 Blue-Ray의 독주 체제가 될 것이기 때문에 in-facto 표준이 채택될 가능성이 아주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식으로 출시된 Blue-Ray 타이틀이 'Monster vs. Alien (몬스터 대 에이리언)' 밖에 없는 건 어떻게 설명이 되려나? HW 쪽에서는 난리가 났는데, SW 쪽으로는 잠잠하다. 심지어는 이 난리를 만들어 낸 'Avatar (아바타)'의 타이틀도 아직은 2D로만 출시된 상태..
3D 를 제외한 제품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 HD Projector나 초경량 X-Note는 별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관람객 유도를 위한 이벤트 선물도 3D...
DLNA
나온지 오래됐지만, 아직 그닥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는 DLNA... LG에서 나름 큰 규모로 전시를 해 놨는데.. (그래봐야 TV, Blue-Ray, PC 연결...) 이걸 계기로 DLNA가 좀 확산 됐으면 싶은 마음이 있는데... 집안의 AV 가전이 모두 바뀌어야 하니 쩝...
사진에는 잘 안보이지만, LG의 NAS 제품도 DLNA를 지원한다. 1TB짜리 2~3개 꽂아 놓고 LAN선만 연결하면 영화 쥬크박스 완성...
Smart Phone
스마트폰 분야에서 가장 대응이 늦었다고 평가받는 LG... 안드로이드 OS로는 처음 내 놓은 안드로원이 (당연하게도) 그닥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고, '그건 훼이크고 이게 진짜'라고 말하는 듯 Optimus로 시리즈를 대대적으로 밀고 있다. (Michael Bay 쪽과는 끈끈한듯.. 'Transformers 3'에서도 LG 스마트폰을 기대해 보자.)
LG 로고가 있는 입구 반대쪽, 삼성을 맞대고 있는 방향의 또 다른 입구. 다른 스마트폰은 아오안인지, '스마트폰'이 아니라 'Optimus Q'라고 간판을 붙여놨다. 의외로 Optimus Q는 LG텔레콤 Oz 전용...
SK텔레콤, KT 향의 Optimus Z 쪽에는 도우미도 없고, 찬밥 신세다. 뭐, 일단 내세운게 qwerty 자판이니까...
그런데, Optimus Q의 터치감은 정말 안습이다. 도우미가 거의 울먹이면서 변명하는데... '충전기 연결 안하면 터치감이 괜찮아요...' 그럼 전시장에 있는 단말 배터리 충전 좀 잘 해 놓으시지...
그래도 간판은 Display
뭐니뭐니 해도 돈 되는 것은 Display 인 듯. 무엇을 밀든지 간에 부스 전면에는 display가 있을 것이다.
LG의 PDP, LCD, LED backlight 디스플레이 패널 총 출동?
2010.5.25~28 COEX A,C,D홀
지난 WIS 2009 보기
WIS 2010 SK텔레콤 부스 보기
WIS 2010 KT 부스 보기
2008 년부터 시작된 World IT Show.... 국내 IT 전시회가 통합된만큼 가장 큰 전시회인데, 나오는 것들이라고는 전부 해외에서 이미 발표한 것들.
뭐 새로운게 있으려나 하는 마음으로 한번 가 봤다. (물론 대기업만 보고 온다.)
통신사 양대 산맥으로 SKT와 KT가 전시회장 입구를 차지하고 있다면 IT 제조업체 양대 산맥으로는 LG 전자와 삼성 전자가 전시장 안쪽을 양분하고 있다. 원래 가전쪽에서는 전통의 금성이 강세였는데, 요즘엔 그룹 브랜드 값을 앞세운 삼성이 조금은 앞서 있는 느낌. 그래서인지 전시회에는 LG쪽이 더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몇년전부터 고급스런 Black을 선택해서 전시회장 설계를 유명 디자이너에게 맡기곤 했는데, 이번에도 그런 흐름은 계속이어진다.
하지만 블랙 라벨에서 초콜렛 이후엔 별 볼일 없었다고...
SK 텔레콤과 KT로 대표되는 통신 분야에서는 딱히 눈에 띄는 흐름은 없었지만, LG, 삼성 가전 쪽에서는 명확한 유행이 존재하는데, 그건 바로 3D와 스마트폰이다. 2009년의 WIS에는 'Green IT'라는 유행같지 않은 외압(?)을 타고 LED TV를 대거 내 놓았지만, 이번에는 3D와 엮어서 다양한(?) 3D 제품을 내 놓았다. 3D와 스마트폰을 제외한 분야는 새로운 것도 없고, 별로 신경도 안 쓴 느낌...
3D 제품
'Amazing 3D Experience'라는 표어를 붙이긴 했으나, 3D를 처음 접한지도 벌써 29년째로 접어드는 만큼 (82년 세계 국제 무역 박람회에서 이미 봤음..) 그다지 Amazing 하거나 하지는 않다. 전시회 부스 절반을 3D 제품으로 채운 것이 오히려 amazing 하지...
PC에서 2D를 3D로 conversion 해서 보여줌
AV, TV 같은 가전 분야 이외에, PC에서 3D를 보여주는 제품을 전시회장 입구에 배치한 것이 의외다. 전시장 입구를 LG 로고가 붙어 있는 곳으로 보느냐, 도우미들이 사진 찍으라고 서 있는 곳으로 보느냐에 따라 입구의 의미가 다르겠지만...
모두가 shutter glass 방식의 3D 안경을 쓰고 보는 제품들이다.
3D TV와 Blue-Ray
3D 의 경우에는 저장과 전송에 표준이 없어서 아직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데...
저장 매체 쪽에는 어차피 Blue-Ray의 독주 체제가 될 것이기 때문에 in-facto 표준이 채택될 가능성이 아주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식으로 출시된 Blue-Ray 타이틀이 'Monster vs. Alien (몬스터 대 에이리언)' 밖에 없는 건 어떻게 설명이 되려나? HW 쪽에서는 난리가 났는데, SW 쪽으로는 잠잠하다. 심지어는 이 난리를 만들어 낸 'Avatar (아바타)'의 타이틀도 아직은 2D로만 출시된 상태..
누구나 좋아하는 '세계 최대' 문구
3D 를 제외한 제품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 HD Projector나 초경량 X-Note는 별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관람객 유도를 위한 이벤트 선물도 3D...
3D 포토존. 그런데 사진은 어떻게 3D로 나눠주려나?
DLNA
나온지 오래됐지만, 아직 그닥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는 DLNA... LG에서 나름 큰 규모로 전시를 해 놨는데.. (그래봐야 TV, Blue-Ray, PC 연결...) 이걸 계기로 DLNA가 좀 확산 됐으면 싶은 마음이 있는데... 집안의 AV 가전이 모두 바뀌어야 하니 쩝...
DLNA 화이팅!
사진에는 잘 안보이지만, LG의 NAS 제품도 DLNA를 지원한다. 1TB짜리 2~3개 꽂아 놓고 LAN선만 연결하면 영화 쥬크박스 완성...
Smart Phone
스마트폰 분야에서 가장 대응이 늦었다고 평가받는 LG... 안드로이드 OS로는 처음 내 놓은 안드로원이 (당연하게도) 그닥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고, '그건 훼이크고 이게 진짜'라고 말하는 듯 Optimus로 시리즈를 대대적으로 밀고 있다. (Michael Bay 쪽과는 끈끈한듯.. 'Transformers 3'에서도 LG 스마트폰을 기대해 보자.)
LG 로고가 있는 입구 반대쪽, 삼성을 맞대고 있는 방향의 또 다른 입구. 다른 스마트폰은 아오안인지, '스마트폰'이 아니라 'Optimus Q'라고 간판을 붙여놨다. 의외로 Optimus Q는 LG텔레콤 Oz 전용...
SK텔레콤, KT 향의 Optimus Z 쪽에는 도우미도 없고, 찬밥 신세다. 뭐, 일단 내세운게 qwerty 자판이니까...
그런데, Optimus Q의 터치감은 정말 안습이다. 도우미가 거의 울먹이면서 변명하는데... '충전기 연결 안하면 터치감이 괜찮아요...' 그럼 전시장에 있는 단말 배터리 충전 좀 잘 해 놓으시지...
그래도 간판은 Display
뭐니뭐니 해도 돈 되는 것은 Display 인 듯. 무엇을 밀든지 간에 부스 전면에는 display가 있을 것이다.
LG의 PDP, LCD, LED backlight 디스플레이 패널 총 출동?
하지만 도우미 외에는 별 관심 안 간다는 것..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Google Edition, 결국 전자책의 시대가 열릴 것인가?
Google Edition, 결국 전자책의 시대가 열릴 것인가?
2010.07.14 -
WIS 2010 - 삼성전자
WIS 2010 - 삼성전자
2010.05.31 -
WIS 2010 - KT
WIS 2010 - KT
2010.05.30 -
WIS 2010 - SK텔레콤
WIS 2010 - SK텔레콤
2010.05.30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