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Source and Cloud Computing의 도입
예전의 Grid Computing과 비스무레하게 하나의 유행처럼 퍼져가고 있는 Cloud Computing...
이 뜬구름 잡는 것 같은 것들이 점점 현실화 되면서 심지어는 상업화 되어가고 있다.
과연 이 Cloud Computing의 상업화와 Open Source의 비독점성이 적절하게 조화될 수 있을 것인가?
LAMP (Linux, Apache, MySQL, PHP)로 되표되는 open source에 기반한 인터넷은 태생적으로 비독점의 성격을 띄면서 성공해왔으나, Cloud Computing의 등장으로 인하여 독점적으로 Lock-in 되는 성격으로 변질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Cloud Computing으로 인하여 중앙에 컴퓨팅 자원이 집중되기 시작하면, 그 자원 자체가 시장 진입 장벽이 되고, 이로 인하여 새로운 시장 진입자의 혁신을 기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Open Source와 Cloud Compuitng의 관계에 있어서 Open Source에서 보여주는 혁신성과 Cloud Computing에서 보여주는 중앙 컴퓨팅을 조화시킬 수 있는 연방 형식의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조화를 위해서는 역시 시스템간의 상호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Open Standard의 도입과 Protocol의 통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 과거 Web Browser 전쟁 시기에 Web을 장악하고자 했던 MS와 Netscape의 장악 실패는 Open Standard를 장악하고 있는 Apache 때문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Open Source와 Cloud Computing의 적절한 조화 사례는 역시 Google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Google Maps 처럼 방대한 지도 DB를 자체 확보하는 방식이 아니라, 개방성을 충분히 제공하여 새로운 Application의 개발을 위한 핵심 요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를 구축한 것이다.
알아서 스스로 updated 해 주세요...
기업 입장에서는 물론 Cloud Computing 상업화를 통한 이익 창출도 중요하겠지만, Open Source를 이용하여 산업내 혁신을 기업 내부로 받아들여서 서비스의 혁신을 이루어 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사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위해서는 이 두가지 측면의 조화가 필요하며, 이 조화를 위해서는 해당 사업의 핵심 경쟁력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Google, Facebook 등이 서비스 API를 공개하고 Open Source에 동참하는 것은 검색, Social Network 등 핵심 경쟁력 영역은 더욱 강화하면서 시장 내의 다양한 Player들의 기술 혁신을 자신들의 Eco-System으로 흡수시키려는 전략적 배경이 있는 것이다.
이 뜬구름 잡는 것 같은 것들이 점점 현실화 되면서 심지어는 상업화 되어가고 있다.
과연 이 Cloud Computing의 상업화와 Open Source의 비독점성이 적절하게 조화될 수 있을 것인가?
LAMP (Linux, Apache, MySQL, PHP)로 되표되는 open source에 기반한 인터넷은 태생적으로 비독점의 성격을 띄면서 성공해왔으나, Cloud Computing의 등장으로 인하여 독점적으로 Lock-in 되는 성격으로 변질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Cloud Computing으로 인하여 중앙에 컴퓨팅 자원이 집중되기 시작하면, 그 자원 자체가 시장 진입 장벽이 되고, 이로 인하여 새로운 시장 진입자의 혁신을 기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Open Source와 Cloud Compuitng의 관계에 있어서 Open Source에서 보여주는 혁신성과 Cloud Computing에서 보여주는 중앙 컴퓨팅을 조화시킬 수 있는 연방 형식의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조화를 위해서는 역시 시스템간의 상호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Open Standard의 도입과 Protocol의 통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 과거 Web Browser 전쟁 시기에 Web을 장악하고자 했던 MS와 Netscape의 장악 실패는 Open Standard를 장악하고 있는 Apache 때문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Open Source와 Cloud Computing의 적절한 조화 사례는 역시 Google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Google Maps 처럼 방대한 지도 DB를 자체 확보하는 방식이 아니라, 개방성을 충분히 제공하여 새로운 Application의 개발을 위한 핵심 요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를 구축한 것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물론 Cloud Computing 상업화를 통한 이익 창출도 중요하겠지만, Open Source를 이용하여 산업내 혁신을 기업 내부로 받아들여서 서비스의 혁신을 이루어 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사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위해서는 이 두가지 측면의 조화가 필요하며, 이 조화를 위해서는 해당 사업의 핵심 경쟁력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Google, Facebook 등이 서비스 API를 공개하고 Open Source에 동참하는 것은 검색, Social Network 등 핵심 경쟁력 영역은 더욱 강화하면서 시장 내의 다양한 Player들의 기술 혁신을 자신들의 Eco-System으로 흡수시키려는 전략적 배경이 있는 것이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당신은 롱테일러인가?
당신은 롱테일러인가?
2008.09.03 -
IT 업계의 차세대 승부처 Cloud Computing - 3. Cloud Computing 사례
IT 업계의 차세대 승부처 Cloud Computing - 3. Cloud Computing 사례
2008.09.01 -
IT 업계의 차세대 승부처 Cloud Computing - 2. 업체별 추진 현황
IT 업계의 차세대 승부처 Cloud Computing - 2. 업체별 추진 현황
2008.09.01 -
IT 업계의 차세대 승부처 Cloud Computing - 1.개념
IT 업계의 차세대 승부처 Cloud Computing - 1.개념
2008.08.28